제미나이·젠킷·IDX를 하나로··· 구글, 생성형AI 전용 개발 플랫폼 ‘파이어베이스 스튜디오’ 공개

Posted by:

|

On:

|

파이어베이스 스튜디오는 클라우드 통합 개발 환경인 프로젝트 IDX(Project IDX), 생성형AI 애플리케이션 개발용 프레임워크 젠킷(Genkit), 그리고 협업형 AI 어시스턴트인 파이어베이스용 제미나이(Gemini in Firebase)를 하나로 묶은 일종의 ‘에이전틱’ 개발 환경이다. 구글은 이를 통해 개발자가 더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코드 작업을 수행하며, 유연하게 앱을 배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개발자는 자연어 프롬프트, 이미지, 혹은 드로잉을 입력해 기능을 갖춘 웹 앱 프로토타입을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초기에는 넥스트JS(Next.js) 기반으로 시작하며, 파이어베이스 스튜디오는 젠킷과 제미나이 API 키를 자동으로 연결해 별도 설정 없이 바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개발자는 파이어베이스 스튜디오를 사용하여 빠르게 반복 작업이 가능하다고 구글은 전했다.

앱은 제미나이와 채팅을 통해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기능을 추가해줘”, “레이아웃을 변경해줘”, “UI를 조금 다듬어줘”와 같은 요청을 하면 제미나이가 개발자의 코드 베이스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코드를 수정한다. 오픈소스 기반 편집기인 코드OSS(CodeOSS)를 활용한 통합 개발 환경도 제공된다. 여기에서는 친숙한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코드 자동 완성, 디버깅, 터미널 접근, 파이어베이스 서비스 연동 기능을 갖춘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턴스(Gemini Code Assistance)를 사용할 수 있다.

앱이 실제 디바이스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하려면, 개발자는 웹 미리보기용 공개 URL이나 모바일에서 바로 열어볼 수 있는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토타입이 충분히 만족스러운 수준에 도달하면 ‘퍼블리시(Publish)’ 버튼을 클릭해 파이어베이스 앱 호스팅(Firebase App Hosting)을 활용한 원클릭 배포가 가능하다. 이후에는 파이어베이스 스튜디오의 개발 공간에서 아키텍처를 다듬고 기능을 확장해 실제 운영 배포에 대비할 수 있다. 전체 작업 공간은 URL을 통해 공유할 수 있으며, 동일한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협업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글은 “파이어베이스 스튜디오에 포함된 제미나이 코드 어시스트 에이전트를 활용하면 코드 마이그레이션, AI 모델 테스트, 코드 문서화 등의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라고 전했다. 현재 해당 기능은 사전 신청을 통해 미리 체험할 수 있다.
[email protected]

Posted by

in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